과학관과문화소식 > 학부모독서클럽: 꿈독클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방드르디, 남태평양의 끝> 모임자료
학부모 독서 모임: 꿈꾸는 독서 클럽 12월 선정 도서 발제문
 
과학관과 문화   기사입력  2018/12/12 [19:46]

 

 

작가소개

1924년 파리에서 태어나 소르본느와 독일 튀빙겐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철학 교수가 되고자 했으나 교수자격시험에 실패한 후 번역과 방송국에서의 일을 하다가 출판사인 플롱사에서 문학부장직을 10년 동안 맡았던 경험이 계기가 되어 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67년 첫 소설 방드르디 혹은 태평양의 끝으로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소설 대상을 수상했고, 1970마왕으로 공쿠르상을 수상했다.

 

책소개

이 책은 18세기 고전으로 꼽히는 대니얼 디포의로빈슨 크루소를 투르니에가 뒤집어서 다시 쓴 소설이다. 이 작품에서는 로빈슨 크루소가 아닌 원주민 방드르디(프라이데이)가 전면에 나선다.로빈슨 크루소가 산업 사회의 탄생을 상징한다면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그 사회의 추진력이 되는 사상의 폭발과 붕괴, 그에 따라 인간의 신화적 이미지가 원초적 기초로 회귀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방드르디

방드르디 출현 이전

방드르디 출현 이후

중요사건

버지니아호 좌초

방드르디 도착

폭발

화이트버드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로빈슨

탈출호

실패

진창

고독한 삶

방드르디와의 공동생활

야생으로 회귀

문명 생활과 다시 대면

섬의 부정

섬의 관리

태양의 섬

 

 

논제 1 신화는 ( )이다.

투르니에는 신화는 무엇보다도 먼저 여러 개의 층을 가진 건축물로 그 각 층은 모두 동일한 도식을 반복하여 보여주지만 층을 높이 올라갈수록 그 추상화의 정도가 점점 커진다.”라고 했다. (p.330)

 

 

논제 2 타인의 부재를 통해 깨닫는 타인의 의미

고독한 삶의 영향으로 그의 정신이 겪고 있는 변화의 중요한 국면을 발견하게 된 기회였다. 주의력의 한계는 점점 깊어지는 동시에 좁아졌다. 이젠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일을 생각하거나 심지어는 골몰한 한 가지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옮겨 가는 일마저 더 어려워졌다. (p.45)

 

내 세계의 가장 중요한 부품인 타인...

 

언어란 과연 그 내부의 모든 것이 이미 알려져 있거나 적어도 알 수 있을 터인 어떤 빛의 섬을 그 주위에 만들고 있는 등대들처럼 수많은 타인들이 가득히 들어 살고 있는 세계에 속하는 것이다. 그런데 나의 영역으로부터 그 등대들이 사라져버린 것이다...이제는 마침내 암흑이 나를 둘러싼다.(p.67)

 

 

논제 3 스페란차의 문명화과정의 존재와 비존재의 균열

경작, 목축, 건설, 행정, 법 등등 인간 사회에서 베껴 온 것이 회고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 나는 고독으로 인해서 내 자신의 내부에 생긴 폐허를 독창적인 해결책들로 대치시키는 근원적 진화의 현장이 된 자신을 발견하니 말이다.(p.143)

 

모든 문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그 반대를 믿게 하려고 기를 쓴다는 사실이다. 존재를 향한 비존재의 엄청나고 공통된 열망이라는 것이 있다.(p.159)

 

 

논제 4 자연으로의 회귀

방드르디는 또다시 그 구더기를 한 줌 긁어쥐고는 이렇게 설명했다.“살아 있는 벌레는 너무 싱싱해. 병든 새, 그래서 씹고 씹어야 돼. 새 새끼를 위하여 씹고 또 씹고...”(p.213)

 

이 녀석은 떠도는 악마적인 생각과, 어처구니없고 지긋지긋하며 예측할 길 없는 일거리를 찾아내서 어떤 정신 상태를 자신의 주위에 유포하고 마침내는 로빈슨 자신에게까지 감염시키고 있는 것이다.(p.214, 224, 234)

 

 

논제 5 새로운 로빈슨

로빈슨은 자기도 과거에는 그들과 다를 바 없이 탐욕, 긍지, 폭력 따위의 똑같은 동기로 움직이는 존재였으며, 지금도 어느 커다란 부분에 있어서는 그들과 같은 무리에 속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마치 벌이나 개미, 혹은 돌을 쳐들면 볼 수 있는 기묘한 쥐며느리 떼 같은 벌레들의 무리를 관찰하는 곤충 학자처럼 객관적 거리감을 느끼면서 그들을 바라보았다. (p.297)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18/12/12 [19:46]   ⓒ 과학관과 문화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방드르디, 태평양의끝, 로빈슨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