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관과문화소식
하나고르기 탐구
해외 과학관 탐방
프로젝트 사업
과학칼럼
과학관뉴스
글쓰기 & 소감문
자료실
로그인
ㅣ
회원가입
과학관과문화 소개
ㅣ
대표인사말
ㅣ
연혁
ㅣ
후원하기
ㅣ
사업보고
ㅣ
오시는 길
편집
2023.09.26 [15:33]
HOME
>
>
이영일의 과학칼럼
[이영일의 과학칼럼] ㉑ 살아있는 화석, 백상아리
상어는 1억5천 만 년 전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하는 물고기이다. 길이가 17cm에 불과한 ...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⑳ 애완견에 관한 오해와 진실
개(domestic dog)는 인간의 인위선택으로 가장 오래전에 가축화된 동물이다. 염색체는 늑대, 자칼, 코요테와 동 ...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⑲ 새들 중 가장 작은 벌새
벌새는 새들 중에 가장 작다. 몸길이 약 5cm, 체중 1.8g인 작은 것부터 큰 것은 21.5cm, 24g에 달하며 320여종이 있 ...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⑱ 박쥐와 황금박쥐
박쥐는 깃털 없이 날아다니는 유일한 포유동물이다. 박쥐는 새처럼 날개 뼈 전체를 움직여 나는 것이 아니 ...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⑰ 시·청각이 뛰어난 올빼미와 부엉이
올빼미와 부엉이는 같은 올빼미 종에 속하며 부엉이는 머리에 깃털이 뿔처럼 솟아 있다. 다른 새들과 달리 ...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⑯ 겸상적혈구 돌연변이
겸상 적혈구 또는 낫 모양 적혈구(sickle-cell)는 돌연변이다. 헤모글로빈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 하나가 ...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⑮ 앵무새의 발성
현재 지구상에 약 350종의 앵무새가 있다. 앵무새는 가장 지능적인 새에 속한다. 뉴런 밀도도 높아 앵무새의 ...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⑭ 딱따구리와 나무속 벌레
딱따구리는 남극, 호주대륙, 뉴질랜드, 마다가스카르를 제외한 전 세계에 236종이 분포 서식하고 있다. 딱 ...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⑬ 흰둥이 제브라피쉬는 어떻게 탄생했나?
제브라피쉬는 수정 후 48시간 이내에 부화하고 성체가 되는 기간은 3개월이 걸린다. 그래서 관상과 의료연 ...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⑫ 쥐의 털색 변이
쥐의 털색은 멜라노코르틴 1(Mc1r)유전자와 티로시나제(tyrosinase) 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 Mc1r 유전자가 활 ...
과학관과문화
1
2
3
뉴스
[추천 도서]「박물관이 살아있다」(권기균/리스컴/2023)
<어린이를 위한 세상을 바꾼 과학이야기> 개정판 출간 (2022. 5. 9.)
서울대 다양성 위원회의 다양성 도서 45선에 『세상을 바꾼 과학이야기』 선정
주간베스트
TOP10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일본 방사능 관련 논의
2024 JAXA 및 일본 도쿄 과학관 탐방연수 참가자 모집 1/24(수)~1/27(토)(3박 4일)
에코 휴먼 라이브러리 다섯 번째 사람책 “정종철 박사” 편 참가자 모집
제트엔진 by 이택우
미국 동부 과학관·박물관·미술관 탐방 연수단 7박 9일 일정 마치고 귀국
살아있는 화석 앵무조개
[추천 도서]「박물관이 살아있다」(권기균/리스컴/2023)
손이 참 많이 가는 도토리
비현실적 스토리인 영화와 영화같은 비현실적인 기술, 생명공학과의 만남 - 우수작
[특별 기고①]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가 전하는 '하나고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