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관과문화소식
하나고르기 탐구
해외 과학관 탐방
프로젝트 사업
과학칼럼
과학관뉴스
글쓰기 & 소감문
자료실
로그인
ㅣ
회원가입
과학관과문화 소개
ㅣ
대표인사말
ㅣ
연혁
ㅣ
후원하기
ㅣ
사업보고
ㅣ
오시는 길
편집
2023.09.26 [15:33]
전체기사
(
915
건)
박스형
요약형
[이영일의 과학칼럼] ㉑ 살아있는 화석, 백상아리
상어는 1억5천 만 년 전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하는 물고기이다. 길이가 17cm에 불과한 작은 난쟁이 등불상어부터 12m에 이르는 고래상어까지 다양...
2023.09.22 10:54
과학관과문화
2024 JAXA 및 일본 도쿄 과학관 탐방연수 참가자 모집 1/24(수)~1/27(토)(3박 4일)
◂연수 개요▸• 탐방기간: 2024. 1. 24. 수요일 ~ 1. 27. 토요일 (3박 4일)• 출/도착: 인천공항 출발 1. 24.(수) 09:00 인천공항 도착 1. 27(토) 21:30• 출발인원...
2023.09.21 20:10
과학관과문화
“하나고르기 뮤지엄 트래킹 & 토론” 한국자연사박물관 탐방 참가자 모집
오는 11월 4일 토요일, (사)과학관과문화(대표 권기균)는 ‘하나고르기 뮤지엄 트래킹 & 토론’ 프로그램 일환으로 충청남도 계룡산에 있는 한국자연사박물관 당일 탐방...
2023.09.15 17:56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⑳ 애완견에 관한 오해와 진실
개(domestic dog)는 인간의 인위선택으로 가장 오래전에 가축화된 동물이다. 염색체는 늑대, 자칼, 코요테와 동일한 78개로 38쌍의 상염색체와 1 쌍의 성염색체로 구성되어...
2023.09.15 11:24
과학관과문화
[머니투데이 청계광장 - 권기균 칼럼] 천재 과학자 오펜하이머 형제들의 세상을 바꾼 이야기(2023. 8. 28.)
요즘 영화 오펜하이머의 열기가 대단하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12번째 작품이라는 사실 하나로도 사람들은 기대감에 부풀었다. 순제작비가 1억 달러인데, 개봉...
2023.09.08 12:35
과학관과문화
[머니투데이 청계광장 - 권기균 칼럼] 멸종 위기에 처한 코끼리들(2023.07.27)
미국 워싱턴 DC의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 1층에는 넓은 ‘로턴다’가 있다. 그 중앙에 거대한 아프리카코끼리 한 마리가 단상 위에 우뚝 서 있다. 덩치가 워낙 커서...
2023.09.08 12:07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⑲ 새들 중 가장 작은 벌새
벌새는 새들 중에 가장 작다. 몸길이 약 5cm, 체중 1.8g인 작은 것부터 큰 것은 21.5cm, 24g에 달하며 320여종이 있다. 비둘기는 1초에 5번 날개를 퍼덕여 나는 반면 벌새는 최...
2023.09.08 10:55
과학관과문화
시민 에코 디지털 클럽 후속모임 마무리 돼
지난 9월 2일 (사)과학관과문화(대표 권기균) 보라매교육장에서 참가자들의 결과와 따뜻한 웃음이 어우러진 과학공동체 후속모임 자리가 마련되었다. 은 환경과 디지...
2023.09.07 18:28
과학관과문화
2023년 미국동부 과학관·박물관·미술관 탐방연수 열려
지난 8월 24일 토요일 서울 강남구 센츄리 21 코리아, 세미나룸에서 2023 미국 동부 과학관·박물관·미술관 탐방연수(이하 미국연수, 연수단장 권기균) 마침표 성격인 가...
2023.09.04 16:24
과학관과문화
“하나고르기 뮤지엄 트래킹 & 토론” 서울식물원 탐방 참가자 모집
원자번호 6번 카본(C)은 지금 전 세계의 뜨거운 이슈다. 탄소가 산소와 결합한 이산화탄소 이야기다. 이산화탄소량 증가할수록 지구의 기후변화가 가속화된다. 이산화...
2023.09.04 14:44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⑱ 박쥐와 황금박쥐
박쥐는 깃털 없이 날아다니는 유일한 포유동물이다. 박쥐는 새처럼 날개 뼈 전체를 움직여 나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뼈만을 사용한다. 엄지손가락은 앞쪽 가장자리 날...
2023.09.01 11:24
과학관과문화
‘시민 에코 코딩 클럽’ 게임 작품
“시민 에코 디지털 클럽”의 세부 프로그램 ‘시민 에코 코딩 클럽’ 게임 산출물 1 - 주최: (사)과학관과문화, 후원: 한국과학창의재단 *이 프로그램은 과학기술진흥...
2023.08.31 14:22
과학관과문화
“하나고르기 뮤지엄 트래킹 & 토론” 서울시립과학관 탐방 마쳐
지난 8월 12일(토)에 서울시립과학관, 8월 19일(토)에 과학관과문화 보라매 교육장에서 (사)과학관과문화의 ‘하나고르기 뮤지엄 트래킹 & 토론: 서울시립과학관 탐방...
2023.08.30 12:02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⑰ 시·청각이 뛰어난 올빼미와 부엉이
올빼미와 부엉이는 같은 올빼미 종에 속하며 부엉이는 머리에 깃털이 뿔처럼 솟아 있다. 다른 새들과 달리 넓고 큰 머리, 큰 눈, 튀어난 청각, 날카로운 발톱, 조용히 날...
2023.08.25 10:56
과학관과문화
2023년 미국 동부 과학관·박물관·미술관 탐방연수 소감문
“박물관이 살아 있다” 저자이시자, 스미소니언 객원 연구원을 지내신 권기균 박사님의 생생한 해설로 미국 동부 7박9일 탐방 연수를 마눌님이 신청하였습니다. 미국...
2023.08.21 14:05
과학관과문화
[이영일의 과학칼럼] ⑯ 겸상적혈구 돌연변이
겸상 적혈구 또는 낫 모양 적혈구(sickle-cell)는 돌연변이다. 헤모글로빈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 하나가 낫 모양으로 변한 것이다. 이 돌연변이는 아프리카 일부 지역...
2023.08.18 10:57
과학관과문화
후속모임
...
2023.08.17 18:47
과학관과문화
시민 에코 코딩클럽 마쳐
백화현상으로 죽어가는 바닷속 산호를 살리는 온라인 플로깅 활동이 진행되었다. 각자의 컴퓨터 코딩 능력을 발휘에 재미있는 게임 콘텐츠로 쓰레기를 수거하며 지구...
2023.08.17 18:35
과학관과문화
에코 휴먼 라이브러리 다섯 번째 사람책 “정종철 박사” 편 참가자 모집
8월 중순을 넘어서면 밤에 가을을 알리는 귀뚜라미 소리가 요란하다. 개미는 부지런히 먹이를 모으고, 나비는 꽃을 찾아 팔랑거린다. ‘곤충’하면 떠오르는 책은 ‘파...
2023.08.17 16:40
과학관과문화
통찰력이 있는 사람책 ‘조경숙 교수’ 대출 마무리 돼
고열에 시달리는 지구를 치료하고자 노력하는 지구 의사가 있다. 바로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조경숙 교수다. 지난 8월 일 화요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사)과...
2023.08.11 11:26
과학관과문화
더보기 (895)
1
2
3
4
5
6
7
8
9
10
46
뉴스
[추천 도서]「박물관이 살아있다」(권기균/리스컴/2023)
<어린이를 위한 세상을 바꾼 과학이야기> 개정판 출간 (2022. 5. 9.)
서울대 다양성 위원회의 다양성 도서 45선에 『세상을 바꾼 과학이야기』 선정
주간베스트
TOP10
북태평양해양과학기구(PICES), 일본 방사능 관련 논의
2024 JAXA 및 일본 도쿄 과학관 탐방연수 참가자 모집 1/24(수)~1/27(토)(3박 4일)
에코 휴먼 라이브러리 다섯 번째 사람책 “정종철 박사” 편 참가자 모집
제트엔진 by 이택우
미국 동부 과학관·박물관·미술관 탐방 연수단 7박 9일 일정 마치고 귀국
살아있는 화석 앵무조개
[추천 도서]「박물관이 살아있다」(권기균/리스컴/2023)
손이 참 많이 가는 도토리
비현실적 스토리인 영화와 영화같은 비현실적인 기술, 생명공학과의 만남 - 우수작
[특별 기고①]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가 전하는 '하나고르기'